현대시회는 정보화, 국제화 시대 또는 지식기반사회라고 말한다. 20세기에 요구된 인간의 능력이 지능이었다면, 21세기에 요구되는 능력은 창의력이라고 할 수 있다. 지능과 창의력이 모두 인간의 중요한 능력임에는 틀림없지만 어떤 상황이나
사실을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단순한 지능보다는 어떤 사실을 바탕으로 새로운 사실을 창출하는 창의력이야말로 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래 사회는 얼마만큼의 정보와 기술을 가지고 창의력 있게 재창조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개인과 국가 경쟁력의 척도가 되며, 또한 국력을 평가하는 척도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창의성은 개인의 발전은 물론 나아가 사회와 국가의 발전과 관련된 중요한 능력이다.
미래사회에 적응하는 인력 양성을 위하여 학교 교육의 목표는 창의성 있는 인간을 기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 교육과정에서 학습자의 창의성을 계발하고 기르는 교육이 필요하다.
미래학자 Alvin Toffler(1980)는 미래를 살아가는 능력은 암기하는 전통적인 지식보다는 불확실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다양성과 창의성이 필요하다고 역설하였다. 또한 Toynbee(1970)는 한 사회가 그가 가지고 있는 잠재적 창의성
이 발휘될 수 있도록 공정한 기회를 주느냐, 주지 않느냐는 그 사회가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라고 하면서, 창의성 계발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Guilford(1950)가 창의성 교육의 부재 현상을 지적한 이후부터 창의성은 학문적 관심의 중심 영역이 되었으며, 그 후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2009개정 초등학교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창의성이 각 급 학교 교육의 주요 교육 목표로 제시되고, 초등학교에서 창의적 재량활동을 통해 창의성 교육을 활성화
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시기는 학생들의 개성과 특기, 소양이 발견되고 개발되는 때이므로 통합적인 접근으로 창의성의 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융통성, 정교성, 민감성등이 고려된 창의성 교육이 시작되어야 한다.
초등학교의 창의성 교육은 체험활동 시간에 환경교육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동안 환경교육은 생활과 관계 깊은 인식과 지식을 획득하고 기능을 기르며, 바람직한 윤리관, 가치관과 태도를 함양하여 행동인을 기르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
었다(박태윤 등,2002).그러나 환경교육은 통합적 성격이 강한 학문으로 문제해결력, 의사결정력 등 종합적 사고력이 요구되는 과목이다. 따라서 이러한 창의성은 환경수업의 종합적 사고력 훈련을 통해서 향상될 수 있다(Guilford,1978).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에 활동 가능한 창의성 함양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의 환경 문제는 지식의 교육이 높아 초등학생이 내용을 이해하고 실천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동화는 특히 학습자가 주인공과 동일시되는 대리경험을 통해 환경지식과 실천 의지를 함양할
수 있어 초등학교에서의 환경교육 학습전략으로 적합하다(임경순, 2011). 초등학생들은 재미있고 친근한 동화를 통하여 학생 스스로 환경 지식을 알게 되고 유창성, 독창성, 융통성, 정교성, 민감성 등의 창의성을 기를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창의력 신장과 관련하여 국어교과에서 독후감 쓰기, 동화나 지역설화를 활용한 글쓰기, 동화를 읽고 교사의 확산적 질문을 통한 창의력을 향상하는 글쓰기 활동을 많이 활용한 연구가 있었다(강현화. 2004). 그러나 환경과 관
련하여 창의성 신장 교육 프로그램에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최신 환경 문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환경 창작 동화를 읽기 자료로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환경동화를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